▲ 국민의힘 김예지 국회의원
▲ 국민의힘 김예지 국회의원

 

[공감신문] 박진종 기자=영화관 매출이 작년 대비 70.7%가 급감하고, 제작·개봉 준비 중이던 영화 121편이 중단되거나 연기되는 등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한 영화계 분야 피해가 1조원을 넘어서고 있다.

 

국민의힘 김예지 국회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코로나19로 인한 영화계 및 영화인 피해규모’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영화관 입장권 매출액은 2019년 매출액(1조 4482억원)대비 70.7% 급감한 4243억원으로 집계됐다. 1~9월 평균 매출액은 471억 원으로 코로나 상황이 연내 지속될 경우, 2020년 매출액은 5672억 원 수준으로 예상되며, 이는 2019년 대비 70.4% 급감한 수준이다. 

 

관객수는 전년대비 70.8% 급감한 4986만명으로 기록됐다. 최근 5년간 여름 성수기 7~8월의 평균 관객 수는 5200만명인데, 올해 관객 수는 연중 2개월 간의 관객 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총 121편의 영화 제작이 중단되거나 개봉이 연기되는 등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제작 중단/취소로 63억7000만원, ▲제작 연기/변경으로 80억2000만원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개봉 준비 과정에서 중단되거나 연기되는 등의 사유로 97억3000만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총 241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영화상영업 고용인력 감축 피해도 커지고 있는데 특히 비정규직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멀티플렉스 3사(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2019년 12월 대비 정직원의 경우 9.7% 감축됐고, 영화관 현장 운영 스태프인 계약직은 63.8%나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사 영화관 417개 중 7개가 폐관됐고, 운영 중인 영화관도 임대계약 등의 이유로 울며 겨자 먹기로 상영을 이어가고는 있으나, 특정 시간이나 특정 요일만 운영하는 등 휴관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극장의 경우 기획전 특별지원을 통해 운영자금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25억3000만원의 예산이 집행됐지만, 비정규직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등 직접 지원은 어려운 상황이다. 3차 추경으로 영화인 직업훈련 긴급지원에 10억원의 예산이 편성됐지만, 현장 수요와 동떨어진 사업 설계로 인해 집행률은 5.3% 수준이다. 

 

한편, 남북관계경색국면과 코로나19로 인해 남북영화교류사업도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예산 불용이 예상되는 가운데, 2020년 예산 중 400만원이 지난 2월, 베를린국제영화제 계기 남북교류특별상영회 및 토론회 개최에 사용됐고, 예산 중 일부(5000만원)가 코로나19 영화인 지원예산으로 전용됐다.

 

영진위는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영화 현장 피해 실태조사를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제작·개봉, 상영관 상황 등을 파악하여 지원책을 논의한다는 입장이다. 

 

김예지 의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영화계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그런데 정부는 이런 초유의 위기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했고, 현장에서는 현실적인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이 위기가 언제까지 갈지 예측도 어렵지만, 종식되더라도 그 여파가 클 것으로 보인다. 줄 도산 위기에 놓인 영화업계 종사자들뿐만 아니라 사각지대에 놓인 비정규직과 프리랜서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현장 맞춤형 지원 등 정부의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북영화지원교류사업, 국제교류사업 등 불용이 예상되는 27억원의 예산들을 코로나19 지원예산으로 전용하고,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현장에 실질적으로 도움 되는 지원책 마련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