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생의 한양이야기] 을미사변, 명성황후 시해사건 되새긴다

[공감신문=한선생 문화해설사] 이제 10월의 중순에 접어들게 되니 산과 들 강과 바다가 더욱 아름답다. 특히 요즘 고궁은 색색이 물드는 단풍과 청량한 하늘빛, 그리고 수백년의 이야기를 속삭여줄 것 같은 궁궐의 부드러운 처마가 어우러져 우아한 아름다움의 극을 보여주고 있다.

그 아름다움도 잠시, 10월 8일이 되면 우리는 궁궐에서 일어난 끔찍한 사건을 마주하게 되니 1895년 10월 8일에 일어난 을미사변(乙未事變)이다. 명성황후 시해사건(明成皇后 弑害事件)이라는 이름으로도 많이 부른다.

경운궁(덕수궁)에 가면 덕홍전이라고 있는데 그 자리가 원래는 경효전으로 명성황후의 혼전(魂殿)이었던 곳이다.(혼전은 왕이나 왕비가 졸묘에 합사하기 전까지 궁궐에 위패를 모시는 공간을 말한다.)

덕홍전

일본은 청일전쟁으로 조선에서 청나라를 몰아 내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극동에서 그들의 지배력이 커지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한 러시아, 프랑스, 독일이 일본을 견제하게 되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일명 3국간섭이다.

전쟁의 댓가로 어렵게 할양받은 요동반도를 다시 내놓게 된다. 이에 발 빠른 명성황후는 러시아에 손을 내밀고 일본군에 의하여 훈련시킨 훈련대도 해산하고자 하였다. 일본으로 볼 때는 다 된 밥에 콧물 떨어뜨리는 셈이었다.

미우라 고로

전 일본공사였던 이노우에 가오루는 이토 이로부미의 친구로 메이지 유신을 성공적으로 이끈 인물로 일본의 외상을 역임한 거물급 정치인이다. 이노우에 가오루의 조종하에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는 이 국제정세의 국면을 만회하기 위하여 명성황후를 시해할 계획을 세우니 일본이라는 한나라의 도덕적 판단 기준이 조폭수준으로 몰락하는 순간이었다.

사실 일본의 낭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외국의 유명대학에서 공부한 엘리트로 보는것이 맞다. 이 사건의 행동대원이 필요했다. 하수인으로 한성신보사(韓城新報社)의 사장 아다치(安達)와 낭인들을 공사관으로 불러 6,000원의 거사자금을 주고 명성황후 시해의 전위대로 삼았다. 일본의 하수인으로 전락한 훈련대의 우범선(禹範善)·이두황(李斗璜)·이진호(李軫鎬) 등 3대 대장과 전 군부협판(軍部協辦) 이주회(李周會)를 포섭하여 작전을 개시하였으니 이른바 여우사냥이다.

흥선대원군

또한 명성황후와 관계가 좋지 않았던 흥선대원군을 참여시키는데 지금의 마포 동도공고 자리에 있었던 아소정(我笑亭)에 머무르고 있던 그를 끌어들여 사건이 탄로날 경우 그를 배후조정자로 삼으려한 것이다. 흥선대원군을 태운 가마와 일본의 낭인무리들은 서대문에서 조선훈련대와 합류하여 광화문에 이르렀다.

훈련대 연대장으로 1중대 병력으로 왕궁호위를 맡았던 홍계훈을 칼로 쳐 죽이고 군부대신 안경수마져 죽이고 경복궁에 난입하게 된다. 이를 저지하던 궁내부대신 이경직도 일본의 칼에 죽으니 세자, 힘없는 궁녀, 명성황후만 있을 뿐이었다. 세자를 밀쳐내고 명성황후를 찾아 수차례 칼로 난자하였다. 시체를 녹산에서 태우고 경회루에 재를 뿌렸다.

명성황후 시해사건(明成皇后 弑害事件)사건에 등장인물이 여럿이다.

홍계훈은 사실 영화와 뮤지컬 드라마에서 명성황후의 호위무사로 많이 거론되는 사람이다. 동학농민 항쟁을 진압한 공을 세웠지만 농민군이 전라도를 점령하고 있을 때 관군의 힘으로 진압할 수 없다 하여 고종으로 하여금 청군을 끌어들여 청일전쟁의 단초를 제공하였으니 어떻게 해석해야할까? 어쨌든 이 일로 고종의 총애를 받아 훈련대 대장에 임명되었고 임오군란때 군인들이 궁궐에 난입 명성황후를 죽이려고 할 때도 지켜 궁궐 밖으로 피신토록한 사람이니 호위무사라 해도 무방하겠다.

을미사변이후에 고종은 남산북쪽 기슭에 이일로 인해 죽은 분들을 위한 사당을 짓고 봄 여름으로 제사를 지내니 장충단(奬忠壇)이다. 장충단은 지금의 국립묘지 쯤으로 생각하면 된다.

일제는 이곳을 훼파(毁破)하여 공원을 만드니 장충단 공원이 되고, 안중근의사에게 죽은 한일병탄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를 위한 사찰을 짓는다. 이등박문(伊藤博文)에서 박문(博文)을 붙인 이름인 박문사(博文社)다. 이 박문사를 지을 때 경희궁의 흥화문과 경복궁의 선원전 건물을 떼어다 붙이니, 몸바쳐 나라를 지킨 지하의 영혼들이 통탄할 일이다.

뮤지컬 명성황후에서 홍계훈 역

시위대장 홍계훈이 일본 낭인들에 맞서 명성황후를 막기 위해 몸을 던져 헌신하였다면, 일본의 편에서 함께 궁궐에 난입한 훈련대 대대장이 있었다. 우범선이라고 들어보셨는가?

우범선

씨없는 수박을 만든 우리나라의 존경받는 종묘학자 우장춘박사의 아버지다. 어릴 적 교과서에서 그토록 자랑스러운 한국인으로 배웠던 분인데, 그분의 아버지는 나라의 국모를 시해하는데 앞장선 사람이다. 그는 사건이후에 일본으로 망명 일본여성과 결혼하였지만 고종이 보낸 자객 고영근에 의해 죽임을 당하였으니 누가 고종을 명성황후의 치마폭에만 쌓여 살았던 무능하고 뱃심없는 왕이라고 말하겠는가! 훗날 우장춘박사는 아버지의 잘못을 사죄하기 위함인지, 한국전쟁이 한창인 1952년에 귀국하여 평생을 종묘연구에 헌신하여 괄목할만한 업적을 일구어냈다.

우장춘 박사

이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보는 외국인이 있었다. 퇴역 미국장교 다이와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이다. 사바틴은 독립문, 러시아공사관, 경운궁의 정관헌, 제물포의 여러 양관을 설계한 근대 건축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이다. 이들의 증언이 아니었으면 사실 이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1910년대의 장충단
일제가 발행한 박문사 엽서 (사진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이 사건의 주동자인 황성신보사의 사장을 비롯한 48명은 어떻게 되었을까? 국제적 비난이 거세지자 일본을 48명의 주동자를 본국에 끌고 가 히로시마 법정에 세우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이듬해에 이들을 모두 석방시킨다.

당시 명성황후를 절명(絶命)시킨 칼 히젠도(肥前刀)가 일본 후쿠오카에 있는 쿠시다 신사에 아직도 보관되어 있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나무로 만든 칼집에는 일순전광자노호(一瞬電光刺老狐)’- 늙은 여우를 단칼에 찔렀다라고 새겨져 있다. 히젠도는 16세기 에도시대 다다요시(忠吉)란 장인에 의해 만들어진 칼로 전쟁용 무기가 아닌 애초에 살상용으로 만들어진 길이 120㎝, 칼날 90㎝의 칼이다.

히젠도

이 칼을 누가 이곳에 두었을까? 1908년 토오 가츠아키(藤勝顯)가 신사에 기증했는데 그는 사건 당시 왕비의 침전에 침입한 세 사람 중 한명이다. 그는 사건이후에 양심에 가책을 느껴 사찰에 이 칼을 맡기려했다, 그러나 사람을 죽여 살기가 너무 짙은 칼을 절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 하여 신사에 보관시킨 것이다.

사바틴

이토록 무시무시한 사건이 120여 년 전 이 땅, 그것도 왕궁의 한 복판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하니 이 땅에 사는 것조차 끔찍할 정도이다. 이 모든 상황을 지켜보았던 세자 순종의 비  순명황후는 충격으로 돌아가셨다. 우리도 그 순간을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이 사건의 모든 과정을 마음속에 되새기는 것이 이 땅에 사는 사람으로서의 도리가 아닌가 한다.

 

한선생은 대학에서 사학을 전공하였고, 지금은 서울에서 문화해설사로 활약하고 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